연구실소개


구조공학 연구실

구조공학 연구실은 현재 콘크리트 구조 재료 연구팀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권성준 교수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 재료에 대한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졸업한 선배들은 건설기술연구원, 성신양회기술연구소, KR 산업, ㈜건화, 씨티건설, 영진건설, 동명기술공단 다양한 분야(연구소, 시공사, 엔지니어링) 협업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지반공학연구실 (Geotechnical Engineering Lab)

  • 지반공학을 토대로 흙, 지반, 지하구조물에 관련된 공학적인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
  • 대표분야 : 지반공학적 재해(산사태, 지진) 위험도 평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시스템 장기건전성 평가
  • 열-수리-역학적 복합연계 수치해석 모델, AI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 연구 수행


수공학 연구실

수공학 연구실수공학 연구실을 수자원 시설물 및 지구 물순환과 관련된 연구를 주로 진행하고 있으며, 크게 연안 수리연구팀과 스마트수자원 연구팀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현재 환경수리학과 연안공학 분야는 정태성 교수가 담당하고 있으며, 수문학과 수자원 관련연구를 포함한 스마트수자원 연구팀은 이승엽 교수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환경수리학과 연안공학분야에서는 하천과 연안해역의 수리특성 및 환경변화 연구, 이와 관련된 각종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응용에 관한 연구를 주로 진행하고 있으며, 스마트수자원 분야는 수자원 공사 및 농어촌공사와 긴밀히 협업하며 업무와 관련하여 상수도관망과 같은 수자원 시설물 운영 및 유지관리와 관련된 내용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승엽 교수: https://sites.google.com/view/hannam-shl

지속가능하고 탄력적인 도시 수자원 계획 및 유지 관리

  • 수자원 시설 자산 관리(구성요소 노후도 추정, 교체/갱생, 예산 편성)
  • 비상 사고(누수, 오염물 유입, 사이버 공격, 등) 대응을 위한 탐지 및 지역화
  • 수자원 시설 최적화 (도시 수자원 시설 설계 및 운영)
  • 방재 저감을 위한 수자원 시설 활용 및 고도화

도시 수자원 시설 첨단화

  •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활용한 매설 구조물 시각화 및 상태 추정 (Virtual Sensing)
  • 스마트 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워터 그리드 (AICBM* + 도시 수자원 시설)
  • AI반 의사결정 도구 개발 (스마트 물관리, 자가적응형 운영)
  • 탄소중립형 수자원 시설 내 에너지 생산 (마이크로 터빈, Pump As Turbine)

환경공학연구실

  • 환경공학 분야에서는 인간에게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고, 자연 환경의 보호, 관리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기술과 정책을 개발합니다. 또한 환경화학 공정공학에 대한 이론과 현장기술을 바탕으로 폐기물처리, 토양 · 지하수 오염 처리에 관한 환경 문제의 해결은 물론 기어이 원하는 다양한 환경 신기술을 창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유기성폐기물, 하수, 산업폐수등을 처리. 처분하여 쾌적하고 살기좋은 친환경적 생태도시를 조성한다는 모토로 다양한 제어기술의 개발합니다.